대체거래소가 등장했다. 이제 주식을 하루종일 할 수있다. 그런데
대체거래소(ATS)란 무엇일까요?
• 기존 한국거래소(KRX) 외에 주식 거래를 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입니다.
• 넥스트레이드(Nxt) 라는 이름으로 2025년 3월 4일부터 운영을 시작합니다.
대체거래소를 왜 만드는 걸까요?
• 경쟁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투자자에게 더 나은 거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.
• 기존 한국거래소의 독점 체제를 깨고, 수수료 인하, 다양한 주문 방식 도입 등을 유도합니다.

대체거래소가 도입되면 무엇이 달라지나요?
• 거래 시간 연장: 기존 오전 9시오후 3시 30분에서 **오전 8시오후 8시로 거래 시간이 늘어납니다.
이제 퇴근 후 저녁 식사를 하면서도 국내 주식 거래가 가능해집니다.
◦ 프리마켓 (오전 8시 ~ 8시 50분), ◦정규 시장 (오전 9시 30초 ~ 오후 3시 20분), ◦애프터마켓 (오후 3시 40분 ~ 오후 8시)
• 다양한 호가 방식: 기존 지정가, 시장가 외에 중간가 호가, 스톱 지정가 호가가 추가됩니다.
◦ 중간가 호가: 최우선 매수/매도 호가 중간 가격으로 자동 조정
◦ 스톱 지정가 호가: 특정 가격 도달 시 지정가 주문 실행
• 수수료 인하: 한국거래소 대비 수수료가 20~40% 정도 저렴해질 수 있습니다. 1억 원 정도 거래 시 약 10만 원을 아낄 수 있습니다.
• 거래 종목: 모든 종목이 거래 가능한 것은 아니고, 코스피, 코스닥 800여 개 종목부터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.
투자자에게 어떤 점이 유리할까요?
• 거래 편의성 증대: 퇴근 후에도 거래가 가능해져 시간 제약이 줄어듭니다.
• 수수료 절감: 수수료 경쟁으로 수수료가 30-40% 저렴해질 예정입니다.
• 다양한 투자 전략: 새로운 호가 방식을 활용해 투자 전략을 다양화할 수 있습니다.
대체거래소, 좋은 점만 있을까요? 예상되는 문제점/우려되는 점
• 유동성 부족: 프리마켓, 애프터마켓은 거래량이 적어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.
거래량이 분산되어 유동성 부족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.
• 제한적인 기능: 상장 및 청산 기능이 없어 반쪽짜리 거래소라는 지적이 있습니다.
• 거래 시간: 8시50분 ~9시, 3시 20분~30분에는 대체거래소에서 거래가 중단됩니다.
• 현재 2,600개 종목 중 800개 종목만 거래가 가능•
• 정규 시장에서 체결되지 않은 주문은 애프터마켓으로 자동 연장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• 모든 증권사에서 대체거래소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,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.
29개 증권사만 참여하며, 그중 모든 마켓에 참여하는 곳은 14곳에 불과합니다.
• 공시 시간이 늦어 애프터마켓에서 불리할 수 있습니다.
• 거래량이 적은 시간 외 시장에서 시세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
◦ 두 거래소 간 가격 차이를 이용한 초단타 매매가 성행할 수 있습니다.
• 퇴근 후에도 주식 매매를 해야 한다는 피로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.
• 시장 감시 기능이 한국거래소에 있어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.